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5)
99클럽 코테 스터디 11일차 TIL: DFS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5195풀이문제 이해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던 문제이다.이 문제를 간단히 설명하면, 1번 노드에서 팬클럽 곰곰이를 거치지 않고 간선이 없는 노드로 도착이 가능한지를 찾는 문제이다.DFS, BFS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DFS로 풀었는데 (요즘 맨날 BFS로만 푸는 것 같아서..)다음 노드를 탐색할 때, 해당 노드가 팬클럽 곰곰이가 있는 노드라면 탐색을 진행하지 않았다.그 이외에는 탐색을 진행하면서, 현재 노드로 부터 간선이 없는 노드라면, 팬클럽 곰곰이를 거치지 않고 여행을 한 것으로 판단해주어서 풀었다.소스코드후기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았는데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다.. 독해력을 길러야겠다고 느꼈다.
99클럽 코테 스터디 10일차 TIL: 방향 그래프 벌써 10일차라니.. 시간 정말 빠르다.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8352풀이이 문제는 99클럽 코테 스터디 중에 등장한 적 없었던 방향 그래프 문제이다.여태 무방향 그래프 문제만 나왔었는데, 이번엔 방향 그래프 문제가 나왔다.사실 방향 그래프라고 해서 뭐 대단한 것은 없고말 그대로 간선에 방향이 있는 것이다.이 문제에서는 x노드에서 최단 거리가 k인 노드들을 찾는 문제이다.최단 거리를 찾는 것이므로, BFS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풀 수 있었다.간선의 비용이 동일할 때 최단거리임을 보장하기 때문이다.소스코드후기BFS 알고리즘에 이해가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99클럽 코테 스터디 9일차 TIL: BFS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7562풀이나이트가 해당 좌표로 최소 몇 번 만에 이동할 수 있는지 구하는 문제최소 몇번 -> 최단 거리를 뜻하기 때문에 BFS를 떠올려서 풀이할 수 있었다.일단 나이트의 이동은 8방향이다.나이트의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dy, dx 값을 배열로 만들었다.let dy = [2, 1, -1, -2, -2, -1, 1, 2]let dx = [1, 2, 2, 1, -1, -2, -2, -1]와 같은 형식으로 만들었다.let position = [(2, 1), (1, 2), (-1, 2)...(2, -1)]과 같이 만들어도 무방하지만 나는 첫번째 방법을 선호한다.또한 나이트의 현재 위치에서 이동하려는 위치가 체스판을 넘어가..
99클럽 코테 스터디 8일차 TIL: 그래프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644풀이전형적인 그래프 문제이다.문제에서는 촌수를 계산하고 머 어렵지 않게 써놨지만,이 문제는 모든 간선의 비용이 1인 노드사이의 거리를 출력하라는 것과 동일하다.DFS, BFS 두 알고리즘으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소스코드후기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챌린저 문제를 풀었어야 하는데.. 여러번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안풀고 있다.내일이랑 모레도 바쁠텐데 꼭 풀어보려고 노력해야지.
[BOJ] 백준 1240 노드사이의 거리 (Swift)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240풀이이 문제에서 명확하게 "트리" 라고 알려주었다."트리"는 무뱡항 그래프이다.DFS, BFS로 트리를 구현해서 풀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DFS, BFS로 풀 때, 간선의 비용을 graph에 저장해두어야 겠다고 생각했다.그래서 그래프의 자료형을 [[(Int, Int)]] 형식으로 튜플의 2차원 배열로 선언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물론 Struct나 Class, typealias 만들어줬어도 상관없다.첫번째로 풀이했을 때는 DFS로 풀어보았다.문제에서 간선의 개수는 노드의 개수 - 1 이고 같은 노드 번호는 주어지지 않으므로, 모든 노드가 연결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startNode에서 DFS를 수행했다. startNode에서 DFS를 수..
99클럽 코테 스터디 7일차 TIL: 트리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240풀이접근방법이 문제에서 명확하게 "트리" 라고 알려주었다."트리"는 무뱡항 그래프이다.DFS, BFS 등 트리를 구현해서 풀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DFS, BFS로 풀 때, 간선의 비용을 graph에 저장해두어야 겠다고 생각했다.그래서 그래프의 자료형을 [[(Int, Int)]] 형식으로 튜플의 2차원 배열로 선언해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물론 Struct나 Class, typealias 만들어줬어도 상관없다.첫번째로 풀이했을 때는 DFS로 풀어보았다.문제에서 간선의 개수는 노드의 개수 - 1 이고 같은 노드 번호는 주어지지 않으므로, 모든 노드가 연결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startNode에서 DFS를 수행했다. startNode에서 D..
[BOJ] 백준 2346 풍선 터뜨리기(Swift)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346풀이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 (양수)인 경우에는array.append(array.removeFirst()) 를 통해 맨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주의할 점으로는 적힌 숫자보다 -1 만큼 이동을 시켜주어야 한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배열이 있을 때를 생각해보자.array = [2, -1, 1]가장 앞에 있는 2가 터지고 2만큼 뒤에있는 1이 터져야 할 상황이다.2가 터졌기 때문에 index가 자연스럽게 1이 줄어들게 된다.[-1, 1]array.append(array.removeFirst()) 수행 시 다음과 같다.[1, -1]한 번만 수행해도, 1이 가장 앞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왼쪽으로 이동하는 방식은 (음수) 다음과 같이 ..
[BOJ] 백준 14502 연구소(Swift)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4502풀이접근 방법그래프에서 0 -> 1로 변경시켜주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0 -> 1로 3개를 변경해주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0의 위치들 중에서 3개를 뽑는 조합 알고리즘의 필요성을 느낌0의 위치를 배열로 담아주어야겠다고 생각함for문 3개로 0 -> 1로 바꿔주는 방법을 하려고 했지만 이 문제에서는 필요없겠지만 추후 확장성을 위해 조합알고리즘을 짜야겠다고 생각함0 -> 1로 3개를 변경했다면, 바이러스(2)에서 BFS를 수행해야겠다고 생각함2의 위치를 배열로 담아주어야겠다고 생각함BFS를 수행 이후 0의 개수를 세고 max 값을 찾는다. 그리고 0 -> 1로 바꿔준 부분을 되돌려주어야 함 (백트래킹)반복..이 문제는 n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