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5)
[BOJ] 백준 2606 바이러스 (Swift)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606 2606번: 바이러스 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 www.acmicpc.net 풀이 DFS, BFS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음 1번 노드에서 DFS 또는 BFS를 수행한 후, 1번 노드를 제외하고 몇개의 노드를 방문했는지 확인을 하면 풀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함 소스코드 후기 Solved.ac에서 BFS/DFS 항목에 standard 뱃지를 달아놓은 문제여서 그런지, BFS/DFS 기초적인 문제라고 생각했다. 한 마디로 풀이하면 이 문제는 연결 요소의 갯수를 계산하는 ..
[Swift] let, var의 차이 데이터 저장 Swift에서 let, var 을 사용하여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let or var] [변수명]: [타입] = [값] 과 같은 형태로 사용됨 타입은 생략 가능! (타입을 생략하게 되면 컴파일러가 변숫값의 타입을 추론하여 타입을 지정해요!) 먼저 le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let Swift 에서는 let 키워드를 사용해 상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상수란, 변하지 않는 값 입니다. 즉, 상수로 선언하게 되면 이후에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상수로 선언되었다는 것을 보면 이후에 값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겠죠? 또한,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매직넘버를 상수로 선언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수의 경우 대문자와 밑줄을 사용하여 네이밍을 짓는 컨벤션도 있..
[Programmers] 타겟 넘버 - Swift 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316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1, 1, 1, 1]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