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95)
[BOJ] 백준 1543 문서 검색 (Swift)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543 1543번: 문서 검색 세준이는 영어로만 이루어진 어떤 문서를 검색하는 함수를 만들려고 한다. 이 함수는 어떤 단어가 총 몇 번 등장하는지 세려고 한다. 그러나, 세준이의 함수는 중복되어 세는 것은 빼고 세야 한 www.acmicpc.net 풀이 완전탐색으로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문서의 0번째 문자열부터 검색하고 싶은 단어의 길이만큼을 하나씩 확인해줍시다. 주의할 점으로는 단어를 찾았다면, 중복되지 않게 찾아야 하므로, index를 단어의 길이만큼 늘려주어야 합니다. 소스코드 후기 완전탐색으로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BOJ] 백준 3085 사탕 게임 (Swift)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3085 3085번: 사탕 게임 예제 3의 경우 4번 행의 Y와 C를 바꾸면 사탕 네 개를 먹을 수 있다. www.acmicpc.net 풀이 완전탐색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약간 애니팡 게임과 비슷한 문제였습니다. 모든 사탕에 대해서 인접한 사탕과 교환을 해본 후, 가장 긴 연속 부분을 확인해주는 작업을 거쳐서 최대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후기 답을 쉽게 구할 수 있는데 구현하는 것이 약간 까다로웠던 문제였습니다.
[BOJ] 백준 18352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Swift)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8352 18352번: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 도로의 개수 M, 거리 정보 K, 출발 도시의 번호 X가 주어진다. (2 ≤ N ≤ 300,000, 1 ≤ M ≤ 1,000,000, 1 ≤ K ≤ 300,000, 1 ≤ X ≤ N)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두 개 www.acmicpc.net 풀이 X번 노드에서 도달할 수 있는 도시들의 최단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간선의 비용이 모두 동일하므로 BFS를 사용해서 풀이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저는 visited라는 Int 배열을 선언하였고, 값을 X번 노드에서의 최단 거리로 사용하였습니다. visited 배열 중 값이 k와 같은 노드를 출력시켜주었고, 없다면 ..
[SwiftUI] Grid에 대해서 알아보자 List?? Grid? List는 UIkit에 테이블뷰와 거의 유사하고, Grid는 CollectionView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List는 수직스크롤만 가능하다는 점이고, Grid는 수직, 수평 스크롤 둘다 가능합니다. 수직은 LazyVGrid, 수평은 LazyHGrid를 사용합니다. 예시 1부터 99까지의 숫자들을 수직 형식으로 구현해보려 합니다. Cell로 사용될 View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주었습니다. 먼저 LazyVGrid로 수직 방향으로 스크롤이 되도록 구현하려 합니다. 그런데 [GridItem] 타입을 넣어주어야 하는군요. LazyGrid의 layout을 구현하는 용도라고 합니다. GridItem을 작성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enum 타입의 무언가..
[BOJ] 백준 2206 벽 부수고 이동하기 (Swift)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206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N×M의 행렬로 표현되는 맵이 있다. 맵에서 0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나타내고, 1은 이동할 수 없는 벽이 있는 곳을 나타낸다. 당신은 (1, 1)에서 (N, M)의 위치까지 이동하려 하는데, 이때 최단 경로 www.acmicpc.net 풀이 BFS로 풀이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벽을 한 번도 안부수고 이동하는 것과, 한 번 부수고 이동하는 것을 나누어서 생각해야합니다. 벽을 부시고 그 좌표를 방문했는지, 한 번도 안부수고 방문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3차원 Bool 배열을 사용하였습니다. 벽을 안부셨다면 다음 이동할 좌표가 0이면 그냥 방문하면되고, 1이라면 벽을 부시고 방문할 수 있습니다. 벽을 한..
[SwiftUI] State, Binding에 대해 알아보기 State란? SwiftUI에서 관리하는 값을 읽고 쓸 수 있는 property wrapper 속성을 선언할 때, 앞에 @State를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상태가 변경된다면 View는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SwiftUI에서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따로 보관하고, 관리합니다. 주의해야할 점으로 @State로 작성한 경우에는 private 접근 제어자를 붙여주어야 하고, 가장 상위 뷰에서 작성해야 합니다. Binding이란? 값을 읽고 쓸 수 있는 property wrapper Binding을 사용하여 State를 사용한 View와 양방향 연결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 @State를 사용해 버튼이 눌릴 때 toggle이 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이 버튼을 따로 빼주어서 사용하고 싶은데, 저 isPlayi..
[SwiftUI] Stack을 사용해 Layout 그리기 Stack UIKit에서는 AutoLayout을 사용하여 layout을 구성했는데, SwiftUI에서는 Stack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HStack, VStack, ZStack을 사용하며 생김새는 다음과 같습니다. UIKit의 StackView와 비슷한 것 같네요. Spacer와 Divider를 사용하면 유연하고 복잡한 레이아웃을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Stack Initializer alignment: 서브뷰를 정렬 (default: .center) spacing: 서브뷰의 간격 (default: nil) content: 구현부 spacing은 HStack과 VStack에만 존재합니다. Spacer 그렇다면 Spacer란 뭘까요? 스택에 포함된 경우, 스택 레이아웃의 주축을 따라 확장되며 스택에 포함..
[SwiftUI] Modifier에 대해 알아보자! Modifier란? 각 컴포넌트들의 속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옵션이나 설정 값들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Text의 font를 정해줄 때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여기서 사용된 .font가 modifier 입니다. 이 .font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Text를 받아서 Text를 리턴해주고 있네요. 즉, 기존 Text에서 속성을 변경한 Text를 리턴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modifier는 순서대로 진행되며, 컴포넌트들의 타입별로 다르기 때문에 순서에 주의해야합니다. 순서 주의 Text에서 View로 리턴하는 modifier를 사용한다면 이제 타입이 Text에서 View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Text를 받는 modifier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타입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

반응형